자꾸 배에 가스가 찬다면? SIBO vs IBS – 겉은 비슷하지만 속은 전혀 다른 이야기

1. 가스와 복부팽만, 왜 이렇게 흔한 증상이 되었을까요

요즘 들어 진료실에서 제일 많이 듣는 말이 있습니다. “선생님, 밥만 먹으면 배가 불러요. 근데 대장은 정상이라는데, 왜 이런 거죠?” 대부분의 경우, 위내시경도, 대장내시경도 별다른 이상이 없습니다. 하지만 환자 입장에선 분명히 불편하고, 일상생활이 괴로울 정도죠.
특히 식후 복부팽만, 트림, 장명음, 가스 생성이 반복될 경우, 단순히 소화가 안 되는 문제는 아닙니다. 우리가 ‘기능성 소화불량’이나 ‘과민성 대장증후군’이라고 쉽게 부르지만, 그 안에는 더 복잡하고 미묘한 병태가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오늘 다룰 IBS와 SIBO입니다.

2. IBS와 SIBO, 같은 증상 다른 병

두 질환은 환자에게서 느껴지는 증상이 상당히 겹칩니다.

  • 식후에 배가 심하게 불러온다
  • 가스가 차고 트림이 자주 나온다
  • 장이 꼬르륵거리거나, 불쾌한 움직임이 느껴진다
  • 묽은 변, 변비, 또는 설사와 변비가 번갈아 온다

그런데 내시경, 엑스레이, 초음파… 어디를 찍어도 소견이 안 잡히니까, ‘기질적 질환이 아니다’ 라며 그냥 기능성으로 분류되고 맙니다. 하지만 이건 출발점이 다릅니다. IBS는 장 기능 자체의 조절 이상, SIBO는 소장 내 세균의 과잉 증식입니다. 즉, 둘 다 ‘장에 보이는 병’은 없지만, 작동 방식이 완전히 다릅니다. 그래서 치료 접근도 정반대로 가게 됩니다.

3. IBS – 느끼는 장, 과민한 뇌

IBS는 장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보다는 감각과 운동성의 이상,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이 중심에 있습니다. 음식이 장을 지나가는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바뀌고, 평소라면 인지하지 못할 장내 자극이 과도하게 ‘불편’으로 느껴집니다. 쉽게 말하면, 다른 사람에겐 아무 일도 아닌 장의 움직임이, IBS 환자에겐 큰 불쾌감과 고통으로 다가오는 거죠. 이건 단순히 장의 문제가 아니라, 장과 뇌의 연결 – 소위 gut-brain axis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스트레스, 수면 부족, 자율신경 기능 이상이 깊게 연결돼 있습니다.

4. SIBO – 장 속에서 세균이 너무 많아졌을 때

반면에 SIBO는 훨씬 기계적이고, 미생물적인 병입니다. 정상적인 경우 소장은 세균이 거의 없는 공간인데요, 그 소장에 대장처럼 많은 세균이 증식하게 되면 문제가 생깁니다. 왜냐하면, 그 세균들이 우리가 먹는 음식물을 발효시키면서 엄청난 양의 가스를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는?

  • 식사 후 30분 이내의 극심한 팽만감
  • 트림, 장내 압력 증가
  • 심지어 구역감과 과한 가스 분비로 인한 복부 불편

SIBO는 실제로 장 내 압력이 증가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몸이 느끼는 팽만감이 ‘느낌’이 아니라 물리적인 현상입니다.

5. 그래서 증상은 같지만, 치료는 다르다

여기서 혼란이 시작됩니다. 같은 ‘가스’, 같은 ‘더부룩함’을 호소하지만, 기전을 모르고 식이요법을 하면 오히려 악화되기도 하거든요. IBS에서는 FODMAP 식단이 효과적입니다. 발효되기 쉬운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면 장의 과민 반응이 줄어듭니다. 스트레스 관리, 복식호흡, 장운동의 안정화가 치료의 핵심입니다. SIBO에서는 FODMAP만으로 부족합니다. SCD나 Bi-phasic Diet처럼, 세균의 먹이를 완전히 끊어버리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선 항생제나 항균 한약으로 세균 수를 직접 줄여야 합니다.

6. 진짜 헷갈리는 건,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올 수도 있다는 것

실제로 진료 현장에서는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 IBS 진단을 받고 FODMAP을 열심히 했지만 차도가 없던 사람
  • 항생제 치료를 받았지만 다시 재발하면서 장이 더 민감해진 사람
  •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SIBO가 악화되는 경우

즉, SIBO가 일으킨 장 손상이나 자극이, IBS와 같은 자율신경적 과민반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반대도 가능하죠. 이럴 땐 단계별 접근이 필요합니다. SIBO가 의심되면 먼저 세균 조절 이후 식단 조절과 장벽 회복, 마지막으로 자율신경계 안정과 위장 기능 회복. 이런 식으로 순서와 우선순위를 잡아야만, 오히려 복잡한 케이스들이 풀리기 시작합니다.

7. 이름보다 중요한 건 ‘병의 작동 원리’

결국 중요한 건 진단명이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건 그 증상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가, 즉 ‘그 사람 안에서 병이 어떻게 굴러가는가’를 아는 겁니다. 같은 더부룩함이라도, 어떤 사람은 세균이 만든 가스로 인해, 또 어떤 사람은 신경이 예민해져서 느끼는 것일 수 있습니다. 그 차이를 알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치료도 빗나가기 쉽습니다. 그러니 여러분, 복부팽만이 계속되고, 가스가 일상처럼 차오르고, 소화가 되지 않아 불편한 날이 이어진다면, 그건 단지 위장약으로 끝낼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IBS #SIBO #복부팽만감